EKS(Amazon Elastic Kubernetes Service)
📌 AWS에서 제공하는 쿠버네티스(Kubernetes) 관리 서비스입니다. EKS를 사용하면 AWS 클라우드 환경에서 컨테이너화된 애플리케이션을 손쉽게 배포, 관리, 확장할 수 있습니다.
EKS란?
- **Amazon Elastic Kubernetes Service (EKS)**는 쿠버네티스 관리형 서비스로, 사용자가 직접 Kubernetes 클러스터를 설정하거나 관리할 필요 없이, AWS가 이를 대신 관리합니다.
- 쿠버네티스의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 기능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며, AWS와의 통합으로 네트워킹, 보안, 확장성이 강화됩니다.
EKS의 주요 특징
- 관리형 컨트롤 플레인:
- EKS는 **쿠버네티스 컨트롤 플레인(Control Plane)**을 AWS에서 관리합니다.
- 컨트롤 플레인의 고가용성을 자동으로 보장하며, 백업 및 복구 기능도 제공합니다.
- 노드 관리:
- 관리형 노드 그룹을 통해 워커 노드(Worker Node)를 쉽게 관리 가능.
- AWS가 제공하는 EC2 인스턴스 또는 자체적으로 관리하는 온프레미스 노드에서 클러스터를 실행할 수 있습니다.
- Fargate 지원:
- 서버리스 컴퓨팅 환경인 AWS Fargate와 통합하여, 워커 노드를 관리하지 않고도 애플리케이션 실행 가능.
- 작은 워크로드 또는 서버리스 환경에 적합.
- 보안 통합:
- IAM(AWS Identity and Access Management)을 통해 클러스터 및 워크로드에 대한 세분화된 액세스 권한 관리.
- AWS PrivateLink를 통해 VPC 내에서 안전하게 클러스터 접근 가능.
- 하이브리드 및 멀티 클라우드:
- AWS Outposts 또는 EKS Anywhere를 사용하면 하이브리드 환경(온프레미스 및 클라우드)에서 클러스터 관리 가능.
- EKS Anywhere: 온프레미스 환경에서 쿠버네티스를 실행하도록 지원.
- 자동 확장:
- EKS 클러스터는 필요에 따라 자동으로 워크로드를 확장할 수 있습니다.
- Kubernetes의 Horizontal Pod Autoscaler(HPA) 및 Cluster Autoscaler(CA)를 지원.
- AWS 서비스 통합:
- EKS는 Elastic Load Balancer(ELB), CloudWatch, Amazon ECR(Container Registry) 등 AWS 서비스와 원활하게 통합됩니다.
EKS 사용의 이점
- 간소화된 관리: 쿠버네티스 컨트롤 플레인과 클러스터 인프라를 AWS가 관리.
- 높은 확장성: 필요에 따라 애플리케이션 및 클러스터를 자동으로 확장 가능.
- 보안 강화: AWS의 보안 서비스와 통합하여 안전한 쿠버네티스 운영.
- 비용 절감: Fargate를 통해 서버리스 방식으로 리소스 최적화.
- 멀티 리전 지원: AWS 글로벌 인프라를 기반으로 다양한 리전에서 클러스터 배포 가능.
EKS의 구성 요소
- 컨트롤 플레인 (Control Plane):
- Kubernetes API 서버와 관련된 모든 클러스터 관리 작업을 담당.
- AWS에서 관리되며, 고가용성과 백업이 기본 제공됩니다.
- 노드 그룹 (Node Groups):
- 워커 노드가 실행되는 AWS EC2 인스턴스의 그룹.
- 관리형 노드 그룹과 자체 관리 노드 그룹으로 나뉨.
- Fargate:
- 쿠버네티스 워크로드를 서버리스 방식으로 실행.
- 노드 관리를 하지 않아도 되는 간편한 옵션.
- IAM 및 역할:
- EKS 클러스터와 워크로드에 대한 권한을 IAM으로 관리.
- 사용자별 세분화된 권한 설정 가능.
EKS vs Kubernetes
특징 | EKS | Self-managed Kubernetes |
관리 책임 | AWS가 컨트롤 플레인 관리 | 사용자가 직접 관리 |
확장성 | 자동 확장 지원 | 직접 구성 필요 |
보안 | AWS IAM 및 네트워크 정책 통합 | 보안 구성은 사용자가 설정 |
비용 | 클러스터당 추가 요금(컨트롤 플레인 관리) | 관리 비용 없음 |
운영 간소화 | 쉬운 설정 및 AWS 서비스와 통합 | 설치 및 운영 부담이 큼 |
EKS 사용 사례
- 클라우드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 개발:
- 컨테이너화된 애플리케이션을 AWS에서 빠르게 배포하고 관리.
- 하이브리드 클라우드:
- 온프레미스와 AWS 클라우드 간 하이브리드 쿠버네티스 클러스터 운영.
- 자동 확장이 필요한 서비스:
- 트래픽 증가에 따라 빠르게 확장해야 하는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.
- DevOps:
- CI/CD 파이프라인에 컨테이너 기반 워크로드를 쉽게 통합.
EKS 시작하기
- AWS 콘솔에서 EKS 클러스터 생성.
- 워커 노드 그룹 설정(EC2 또는 Fargate 선택).
- kubectl을 통해 클러스터에 액세스.
- 애플리케이션을 컨테이너로 패키징 후 클러스터에 배포.
EKS는 AWS에서 Kubernetes를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, AWS의 다양한 서비스와 긴밀하게 통합되어 있어 클라우드 네이티브 환경에서의 운영 효율성을 극대화합니다. 쿠버네티스에 익숙하다면 EKS를 통해 더욱 간편하게 컨테이너화된 애플리케이션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. 😊
'Cloud > AW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AWS] ECS (AWS가 만든 컨테이너 관리 서비스) (0) | 2025.03.14 |
---|---|
[AWS] Elastic Beanstalk (애플리케이션 배포 및 관리 플랫폼) (1) | 2025.03.12 |
[AWS] Cloudfront (콘텐츠 전송 네트워크) (0) | 2025.03.11 |
[AWS] ACL (AWS의 리소스 접근 권한을 제어하는 규칙) (0) | 2025.03.10 |
[AWS] ARN (AWS의 고유 식별자) (0) | 2025.03.09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