AWS 클라우드 개요

📌 AWS란? AWS(Amazon Web Services)는 아마존이 제공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플랫폼으로, 전 세계적으로 분산된 데이터 센터를 통해 고객에게 IT 인프라 서비스를 제공합니다. 사용자는 AWS를 통해 필요한 리소스를 유연하고 효율적으로 설정, 관리할 수 있습니다.

 

AWS 주요 서비스 카테고리

  • 컴퓨팅: EC2(Elastic Compute Cloud), Elastic Beanstalk 등
  • 데이터베이스: RDS(Relational Database Service) 등
  • 스토리지: S3(Simple Storage Service), EBS(Elastic Block Store) 등
  • 네트워킹: VPC(Virtual Private Cloud), CloudFront, Route 53 등
  • 보안: IAM(Identity and Access Management) 등

On-Premise

📌 On-premise는 조직 내부에 물리적으로 설치된 서버를 의미합니다. 이러한 서버는 해당 조직의 IT 팀이 직접 관리 및 유지보수하며, 주로 중요한 데이터와 애플리케이션을 호스팅하는 데 사용됩니다.

 

On-premise vs. 클라우드 서비스 비교

  • On-premise:
    • 서버가 조직 내에 위치
    • 자체 관리 및 유지보수 필요
    • 초기 설치 비용이 높음
  • 클라우드:
    • 외부 데이터 센터에서 호스팅
    • 클라우드 제공 업체가 관리
    • 유연한 비용 구조

추가로 알아야 할 정보

  • AWS의 장점:
    • 확장성: 필요에 따라 리소스를 쉽게 조정 가능
    • 비용 효율성: 사용한 만큼만 비용 지불
    • 글로벌 접근성: 다양한 지역에 배치된 데이터 센터 사용
  • On-premise의 장점:
    • 데이터 보안: 민감한 데이터를 조직 내에서 직접 관리
    • 맞춤형 인프라: 비즈니스 요구에 따라 시스템 설계 가능

사용 이유:
조직의 특성과 요구에 따라 클라우드(AWS)와 On-premise를 선택하거나, 두 가지를 혼합하여 하이브리드 환경을 구축하기도 합니다.

장단점 요약 (표):

  On-premise AWS (클라우드 서비스)
비용 초기 설치 비용 높음 사용량 기반 과금 (비용 효율적)
유연성 물리적 하드웨어로 확장 한계 리소스 확장/축소 용이
보안 직접 관리 가능 (높은 통제력) AWS 제공 보안 서비스 활용 가능
유지보수 IT 팀이 직접 유지보수 필요 AWS가 유지보수 제공

 

+ Recent posts